온전穩全

닫기
통합검색
SITEMAP전체메뉴

리뷰

기획자 개인의 창작 및 기획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제6호 기획, 기획자, 기획이라 부르는 것_2022년 9월
내용 SNS 공유 +

예술창작 과정에서 기획자의 활동 영역이 확대되고, 창작자의 기획, 제작 능력이 강조되는 등 창작자와 기획자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고 있다. 공연예술, 시각예술 장르 구분이 뚜렷하던 예술계에서 다원예술의 등장과 함께 융복합 작품이 늘어나고, 그만큼 기획자의 역할 또한 프로듀서, 편집자, 큐레이터, 제작감독, 행정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만큼 기획자에 대한 관심은 점점 뜨거워지고 있으나, 아직 기획자가 마음껏 본인의 프로젝트를 펼칠 수 있는 지원사업은 다양하지 않은 것 같다. 오늘 필자는 기획자가 예술창작 주체가 되어 1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본인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획자를 위한 육성프로그램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를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제공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인력양성부에서 진행하고 있다. 예술인력양성부는 신진예술가, 차세대예술가, 예비인력 및 현장 종사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사업 및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 예술인력 육성을 위한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창작뮤지컬아카데미, 무대예술전문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 예술인력 육성을 위한 비대면예술교육플랫폼인 '문화예술 내일', 청년예술가의 창작지원을 위한 아르코청년예술가지원, 청년예술가해외진출지원 등이 있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는 과거 아야프(AYAF, Arko Young Art Frontier)를 전신으로 2016년 개편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2022년 올해로 7년째 진행되고 있다.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연극, 무용, 음악, 전통예술), 다원예술 총 7개 분야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중 기획자가 신청 가능한 장르는 문학을 제외한 6개 분야이다. 참여자는 1년간의 과정을 통해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목하는 차세대 예술가의 작품 발표 시리즈인 '차세대열전' 에 참여하게 되며, 사무처에서는 선정 유망 예술가가 한 단계 도약해 자신의 대표작을 창작·기획하여 발표할 수 있도록 멘토링, 특강, 창작 워크숍, 통합홍보, 네트워킹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최종발표 작품시리즈 ‘차세대열전’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제공


신청대상은 만 39세 이하의 개인으로, 지원신청서와 포트폴리오를 통해 1차 서류심의를 진행하며, 2차 인터뷰심의를 통해 최종 지원자를 확정한다. 기획자의 경우 최근 5년 이내 해당 장르에서 주도적으로 기획한 프로젝트(전시, 연구, 공연 등) 2회 이상의 이력이 필수이다. 분야별 지원규모가 다르지만 최대 4천 만 원 까지 지원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조사연구 부터 최종발표 작품 제작비까지 1년 동안 창작과정에 필요한 전 과정에 대해 집행이 가능하다. 가령 조사연구 및 사전제작 지원금을 통해 창작 및 기획과 관련한 도서구입, 공연관람, 강의수강, 공간 및 기기 임차, 현장답사(교통 및 숙박비), 연구 자문 등 창작 초기 본인이 구상한 작품 연구 개발을 위한 리서치와 사전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항목에 집행이 가능하다. 이후 최종적으로 본인의 프로젝트를 발표하기 전까지 참여 인력 사례비, 홍보비, 대관 및 임차료, 작품제작비 등 본격적으로 창작발표에 필요한 항목에 대하여 자유롭게 집행이 가능하다. 또한 창작 및 기획자 본인에 대한 사례비(아티스트피)를 최대 250만원까지 집행할 수 있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사업은 타 사업 대비 지원금 규모가 크고, 비교적 자유롭고 주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사무처 기획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아카데미 사업 종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후속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사업에 선정되면, 예술현장 전문가로 구성된 파트너그룹과 함께 연중 서로의 창작과정을 공유하고 피드백하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나간다. 뿐만 아니라 역대 참여자와 함께하는 네트워킹 파티, 예술현장을 탐방하는 필드트립, 개별 작품 및 예술가 개인에 대한 작품 리뷰와 홍보지원까지 창작 및 기획자 개개인에 대한 맞춤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사업 종료 이후에도 예술가의 창작활동에 대한 홍보와 네트워킹 지원을 꾸준히 이어나가니, 몇 개월 잠깐 참여하고 종료되는 타사업과는 확연히 차별화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본인의 창작주제를 깊이 연구하고, 동료들과 치열하게 토론하며, 또 다른 협업 기회를 만들어가는 한해를 계획하고 있다면, 22년 10월부터 새롭게 접수를 진행하는 2023년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사업에 관심 가져보길 바란다. 창작과정을 공유하고 고민하는 연간 과정이 쉽지만은 않다.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에서는 이러한 노력을 충실히 지지하고 지원하는 한 해를 준비하며, 이 과정을 함께 할 준비를 마친 예술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예술창작 #다원예술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문화예술 내일 #예술인력양성부 #아야프 #차세대열전
 섬네일 파일
필자 이영현
이영현은 문화애정자인 예술행정가를 꿈꾸며, 현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인력양성부에서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사업 및 창작뮤지컬아카데미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인스타그램] @arkocreativeacademy
  • 최신기사순
  • 인기기사순
구독하기
전주문화재단에서 발행하는
웹진《온전》과 문화뉴스 클리핑 @파발을 정기적으로 받아 보세요!
구독 이벤트
웹진 《온전》 어떻게 보셨나요?
피드백을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5천 원 상당 모바일 교환권을 드립니다.
5500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경원동3가) T. 063-281-1563 F. 063-283-1201 E. jjcf_run9275@naver.com

발행처 : (재)전주문화재단 관리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