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穩全

닫기
통합검색
SITEMAP전체메뉴

리뷰

청년, 그 애매한 의미의 가능성을 위하여
제14호 지역 미술세계로 진입하기_2024년 10월
내용 SNS 공유 +

전북특별자치도립미술관 2024 전북청년리뷰


전북특별자치도립미술관(이하 도립미술관)이 나름의 성장통을 겪고 있던 2014, 당시 장석원 관장의 제안으로 생겨나 이듬해인 2015년부터 시작된 전북청년10번째를 맞았다. 전북도립미술관이 지나온 지난 20년 그 가운데 절반은 전북청년과 함께한 셈이다. 그 상징성 때문일까. 이번 2024 전북청년에는 도립미술관이 그 어느 때보다 공모와 작가선정, 그리고 전시에 신중을 기하고 고민했다는 사실을 짐작케 하는 흔적들이 역력하다. 먼저 총 세 번의 심사(서류, 인터뷰, 현장)를 거쳐 선정된 네 명의 작가는 바로 김연경, 문민, 이보영, 그리고 홍경태다.


 

지난 712일부터 전북특별자치도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2024 전북청년전시

 

도립미술관은 선정된 네 명의 작가가 제각기 다른 작품세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세 번의 심사 과정에서 공통점을 보였음을 밝히고 있다. 바로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그것이다. 기존의 스타일을 답습하기 보다는 자신의 개성 혹은 특이성으로 나름의 문제의식과 고민을 형상화할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작가를 선정했다는 의미일 것이다. 일단 작년 9월부터 올해 3월을 꽉 채워 한낮의 탈주 : Lines of Flight라는 제목으로 선보인 프리뷰 전시부터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이전과는 달랐다. 바로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전시 기획이 이뤄졌다는 점, 그리고 서울관이 아닌 본관에서 전시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특히 리모델링을 거쳐 만들어진 미술관 정면 파사드와 야외정원을 이용한 공간구성은 탈주라는 테마와 훌륭하게 공명했다. 이는 미술관 이 아닌 미술관 에서 대안적 공간을 찾으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왼쪽) 프리뷰 한낮의 탈주 : Lines of Flight당시 전시되었던 김연경의 작품들  오른쪽) 이보영, <만들어진 그 곳_ 자연 조경>, 2024

 

이번 본 전시(7.12-10.27)는 지난 프리뷰의 연장이자 확대이면서 또 변주이다. 김연경은 자신의 회화 작업들을 AI를 통해 영상으로 구현, 자신의 모티브들을 보존하면서도 또 이질화시켜 스스로의 작업을 낯설게 만든다. 이는 단순히 복제나 매체적 변주를 넘어서 김연경의 관심이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문민은 이른바 모너니티에 대한 자신만의 성찰을 통해 현대인 일반을 무명인으로 정의한다. 익명(anonym)의 군상을 넘어선, 그가 만들어낸 무명(no name)의 단독상들은 생생한 감각의 향유를 거부하는 우리의 모습에 다름 아니다. 문민의 작품 가운데서도 4전시실 중앙에 설치된 <무명인의 부산물>은 꼭 한번 눈여겨 볼만하다. 어느 집에서나 넘쳐나면서도 또 부족한수건. 그 수건으로 덮힌 채 누워있는 이 인물은 소비자본주의의 계율을 설법하는 와불(臥佛)로 보이기도 한다(혹은 지쳐 쓰러진 것일 수도). 이보영은 아파트와 기린과 같은 평소 자신의 모티프를 활용한 작품에 더해 일종의 현상학적 공간을 제시한다. ‘불편하게올려다보아야 하는 것에 더해 반사경을 통해 보아야 하는 그의 작업들은 아파트 단지에 옹색하게 자리 잡은 정원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리고 이는 이보영이 자연-문화 연속체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홍경태의 작업 또한 인상적이다. 그는 흔하디흔한 공업용 부속, 그 가운데서도 볼트와 함께 무엇인가를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너트에 생명력을 부여한다(우리가 질 들뢰즈나 제인 베넷을 따라 금속 또한 물질적으로 살아있다materially alive’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말이다).


         

왼쪽) 문민, <무명인의 부산물>, 2024   오른쪽) 홍경태 <N31680>(), <N13350>()

 

장 자크 루소의 책, 에밀에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문장이 있다. “가장 잘 사는 사람은 가장 오래 사는 사람이 아니라, 삶을 누구보다 많이 느끼며 사는 사람이다.” 살아 낸 세월을 어찌 가볍게만 볼 수 있을까. 하지만 삶의 경험과 밀도가 반드시 나이와 비례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예술도, 작업도 이와 같으니 누가 청년을 낯섦과 마주하고 있다 하는가. 청년은 완성 따위를 향한 노정에 서서 두리번거리거나 방황하는 존재 또한 아니다. ‘청년이라는 애매한 의미 안에서 가능태와 현실태는 대립하지 않는다.

 

 

#전북청년 #이보영 #김연경 #문민 #홍경태
 섬네일 파일
필자 조재휘
학부 시절 한예종에서 미술이론을 전공했으나 그만두고 일본으로 건너가 킥복싱 선수로 활동했다. 한국으로 돌아와 호구지책으로 체육관을 운영하다가 전주에 자리 잡았고 코로나 펜데믹을 계기로 뒤늦게 다시 미술이론 공부를 시작, 전남대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을 수료했다. 서울에서 태어나 40년 가까이 서울에서만 살다가 전주에 자리 잡은 지 7년, 그간의 경험이 공부와 맞물려 ‘지역’의 문화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얼마 전까지 ‘중앙’으로 불리던)의 문화를 추종하며 동화하는 한편, 지역적 전통의 기저 아래 깔린 폐쇄성과 전통이라는 맥락을 쉽사리 끊어버릴 수도 없는 지역 미술의 이중구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도 지역 작가들과 밀착, 해설적 비평보다는 방향제시로써의 비평의 가능성을 실험할 생각이다.
[이메일]  instagram@lexicographer77
  • 최신기사순
  • 인기기사순
구독하기
전주문화재단에서 발행하는
웹진《온전》과 문화뉴스 클리핑 @파발을 정기적으로 받아 보세요!
구독 이벤트
웹진 《온전》 어떻게 보셨나요?
피드백을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5천 원 상당 모바일 교환권을 드립니다.
55000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현무1길 20(경원동3가) T. 063-281-1563 F. 063-283-1201 E. jjcf_run9275@naver.com

발행처 : (재)전주문화재단 관리자 로그인